| 윤리·인권 경영 체계 고도화 |
- 최고경영진의 지속적인 윤리·인권경영 의지표명
- 윤리·인권경영 관리조직 체계화
- 회계 신뢰성 제고 및 책임성 강화
|
- 윤리경영 관리체계 강화 및 투명성 공개
- 윤리·인권 관련한 외부 평가에서 가시적인 성과 창출
- 갑질 근절방안 수립 및 목표 달성
|
- 윤리·인권경영 최우수기관으로 발돋움
- ISO37001(부패방지경영시스템) 10년 인증 유지 달성
- 부패 사건 10년 연속 0건 유지 달성
|
| 내부통제 실효성 확보 |
- 효과적인 윤리위험 관리체계 구축
- 윤리위험 통제제도 강화
- 공통 업무, 고유 업무
-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모니터링 이행점검
|
- 표준모델의 철저한 이행으로 내부통제체계 정착
- 윤리위험의 효과적 대응
- 윤리경영 운영의 효율성 평가 고도화
|
- 기재부 윤리경영 표준모델의 철저한 이행으로 내부통제체계 완전 정착
|
| 기관운영 투명성 강화 |
- 자체 감사 기구의 업무 독립성 확보
- 내부신고 시스템 실효성 점검 및 개선
- 자체 감사 수준 강화 및 외부 감사 지원·대응 철저
|
- 자체감사기구의 감독 권한 강화
- 집중적인 신고체계 운영 및 신고자 보호 강화
- 외부 감독·견제 권한 강화(옴부즈만, 외부전문가 등)
|
- 감사원 공공기관 내부 통제 가이드에 따른 내부 통제 체계 개편
|
| 윤리·인권문화 확산 |
- 고위직, 관리자 솔선수범으로 전 직원 윤리 의식 내재화
- 윤리·인권교육 실효성 제고
- 윤리·인권경영 공감대 형성방안 마련
|
- 효과적인 제3자 관리 실행(협력업체, 하도급업체)
- 민원협력 및 소통채널 다양화로 윤리·인권 이슈 도출 및 해법 모색
- 인권 영향평가 정착으로 주요 인권이슈 대응
|
- 사회적 책임 이행체계 구축
- 윤리·인권 중앙행정기관 및 유관기관과의 교류·협력 체계 구축
- 사회적 가치 중심의 인권 감사 실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