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한국사회보장정보원 한국사회보장정보원

연구보고서


중장년 1인 위기가구의 특성 분석과 지원방안 연구

카테고리
연구보고서
작성자
최정은, 전용호, 김성우
등록일
2025-09-24

○ 연구배경 및 목적

- (배경) 중장년 1인 가구는 청년이나 노년층과 다르게 사업 실패나 가족해체 등과 같은 긴급한 사유로 위기에 처하는 경우가 많으나, 전국 조사는 이제 시작 단계임

- (필요성) 중장년 1인 위기가구의 특성에 맞는 지원방안 마련이 필요한 상황임

- (목적) 본 연구는 중장년 1인 위기가구의 특성을 우리원의 전국 단위 데이터를 통해 확인하고, 지자체 담당자의 업무 경험과 지원 방향을 살펴본 후 대응 방안을 제안하고자 함


○ 주요내용

- 복지사각지대 발굴시스템 위기가구 중 중장년(40~59세)의 비중이 31.8%로 가장 높고, 중장년 1인 남성의 비중이 여성보다 높았음. 중장년 1인 위기가구는 건강보험료체납이나 월세금액기준이하가구 등 위기정보의 보유 비중이 높았으며, 통합사례관리 대상 중 중장년 1인 위기가구는 돌봄지원 등에 대한 복지 욕구가 높음도 알 수 있었음

- 지역 내 중장년 1인 위기가구에는 주민등록 말소자, 비수급 일반인 등이 포함되며, 관계망 축소로 고립되는 신복지 사각지대 대상인 경우도 확인함

- 본 연구에서는 중장년 1인 위기가구 대응을 위해 중앙과 지자체의 중장년 위기가구 범위와 통일된 지원방안 필요, 복지사각지대 발굴시스템 연계 방문 조사, 맞춤형 일자리 개발 등을 제안함


만족도 평가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얼마나 만족하십니까?

  • 매우만족
  • 만족
  • 보통
  • 불만족
  • 매우불만족
평가
TOP

한국사회보장정보원

사이트 전체 메뉴

국자원장애 국민알림

사이트 전체 메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