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정책지원연구

진료정보기반 아동학대 위험도 자동평가모델 개발방안 연구

작성자
김선월, 박규범, 차선정, 박준범, 배세진, 구민지
등록일
2023-03-14
조회수
3130

○ 연구배경 및 목적

 - (배경) 아동학대 신고 의무자로서 의료인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나 의료인의 신고 비중은 약 1%로 미국의 14%에 비해 매우 낮은 상황임

 - (필요성) 다른 나라에서는 진료정보를 기반으로 아동학대를 자동으로 식별하는 연구가 시도되고 의미 있는 결과를 도출하고 있음. 우리나라의 의료데이터는 대표성이 높은 양질의 데이터로서 아동학대의 위험도를 평가하고 발굴하는 데 활용 가치가 매우 높음

 - (목적) 최근 5개년 아동학대 등록 데이터와 국민건강정보 DB의 자격 및 보험료, 진료정보, 영유아 건강검진 데이터를 연계하여 아동학대의 위험도를 평가하고 학대의심아동을 분류하는 모델 개발방안을 마련함


○ 주요 내용

 - 국내 아동학대 발생현황과 신고의무자별 아동학대 신고 현황을 분석

 - 아동학대 신고에 대한 의료인의 의견조사를 통해 낮은 신고율의 원인 파악

 - 진료정보를 이용하여 아동학대 발굴을 위한 KCD 기반의 조작적 정의 수행

 - 학대판정군과 대조군 간 자격 및 보험료, 진료정보, 영유아 건강검진의 주요 항목별 차이 검증 

 -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한 아동학대 분류모델 생성과 평가

 - 아동학대 의심 응급실 진료 현황과 특성 분석

만족도 평가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얼마나 만족하십니까?

  • 매우만족
  • 만족
  • 보통
  • 불만족
  • 매우불만족
평가
top

한국사회보장정보원

사이트 전체 메뉴

사이트맵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