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한국사회보장정보원 한국사회보장정보원

home


복지시스템 위한 AI챗봇 대화셋 생성절차 제시

작성자
최서영
등록일
2023-05-31
복지시스템 위한 AI챗봇 대화셋 생성절차 제시


- 한국사회보장정보원 연구센터, 텍스트마이닝 기반 대화셋 생성방안 연구 -


한국사회보장정보원(이하 정보원)은 2022년도 연구보고서 ‘차세대 사회보장 정보시스템 AI 챗봇 지능향상을 위한 텍스트마이닝 기반 대화셋 생성방안 연구’를 발간하였다. 


이번 연구에서는 복지서비스에 대한 국민들의 궁금증을 해소하는 AI 챗봇 시나리오를 정교화하기 위해 AI 챗봇 대화셋 생성 절차를 설계하고 각 단계를 전체적, 분석적, 생성적 관점에 따라 체계화하였다.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대화셋 생성 절차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대화셋 생성 절차/ 한국사회보장정보원]


각 단계를 기반으로 AI 챗봇 대화셋을 시험적으로 생성한 결과, 사회보장정보시스템과 사회서비스전자바우처시스템에서 인텐트 데이터*를 각각 11개, 14개 도출할 수 있었다.

   * 인텐트 데이터(intent data): AI 챗봇과 대화하는 사람의 의도를 파악할 수 있는 데이터


또한 질문 내용에 대해 이해를 제대로 하지 못한 이전과 달리, 데이터 적용 이후에는 AI 챗봇이 메뉴에 대한 안내와 가이드를 정확히 제시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우식 부연구위원은 “복지서비스 정보를 제공하는 AI 챗봇의 효과적인 시나리오 설계 가능성을 보여주는 결과”라며, “향후 지속적인 알고리즘 개선을 통해 시나리오 정확도가 향상되기를 기대한다”고 하였다.


나아가 이 부연구위원은 “향후 AI 챗봇 기능 향상을 위해 전문 모니터링 요원의 지속적인 개선 작업, 신기술 적용을 위한 데이터 거버넌스 체계 마련, 자연어 처리 정확도 개선을 위한 맞춤형 사전 및 온톨로지 구축, 데이터 연계와 융합을 통한 분석과 활용의 모색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인텐트 적용 후 챗봇 예시

[인텐트 적용 후 챗봇 예시/ 한국사회보장정보원]



제4유형

한국사회보장정보원이 창작한 "복지시스템 위한 AI챗봇 대화셋 생성절차 제시"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만족도 평가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얼마나 만족하십니까?

  • 매우만족
  • 만족
  • 보통
  • 불만족
  • 매우불만족
평가
TOP

한국사회보장정보원

사이트 전체 메뉴

사이트 전체 메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