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한국사회보장정보원 한국사회보장정보원

home


(2017년) 2017 일·가정 양립 지표

작성자
박은앙
등록일
2018-02-19
조회수
7614

2017 일·가정 양립 지표


< 2017 일·가정 양립 지표 주요결과 >



○ 일·가정 양립제도를 도입하는 기업과 국민의 인지도는 증가함


   - 출산(전후)휴가제

     기업의 도입률: 80.3%('15)→81.1%('17), 국민의 인지도: 80.7%('15)→81.7%('17)


   - 육아휴직제

     기업의 도입률: 58.2%('15)→59.1%('17), 국민의 인지도: 77.3%('15)→79.4%('17)


   - 유연근무제

     기업의 도입률: 22.0%('15)→37.1%('17), 국민의 인지도: 47.1%('15)→48.7%('17)



○ 2016년 말 기준 가족친화 인증을 받은 기업 및 기관수는 1,828개로 전년보다 34.1% 증가함



○ 2016년 배우자가 있는 가구 중 맞벌이 가구의 비율은 44.9%로 전년보다 1.0%p 증가함


   - 취학 이전의 자녀(6세 이하)를 둔 맞벌이 가구 비율(39.7%)이 초중학생 연령의 자녀를 둔 맞벌이 비율보다 낮고, 자녀가 3명 이상인 경우(44.4%)가 1~2명인 경우(약 49%)보다 맞벌이 비율이 낮음



○ 2017년 15~54세 기혼 여성의 경력단절 비율은 20.0%로 2014년 22.4%에서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음


   - 15~54세의 기혼 여성 중 취업여성의 경력단절 경험 비율은 전년보다 0.1%p 감소하고, 비취업여성의 경력단절 비율도 0.4%p 감소함



○ 2016년 미혼인 남녀 고용률 차이는 1.1%p이나, 유배우자의 경우는 그 차이가 29.2%p(남자 82.0%, 여자 52.8%)까지 벌어짐


   - 18세 미만의 자녀를 둔 경우, 남자의 고용률은 자녀 연령에 큰 영향을 받지 않으나, 여자는 자녀의 연령이 어릴수록 고용률이 낮게 나타남



○ 2016년 상용근로자 5인 이상 사업체의 월평균 총 근로시간은 10년 전보다 14.3시간, 초과 근로시간은 4.4시간 감소함



○ 2016년에 지난 1년 동안 휴가를 사용한 경험이 있는 사람은 64.2%로 2년 전보다 1.9%p 증가함



○ 2016년 육아휴직자 수는 8만9,795명으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남성이 육아휴직을 사용하는 경우는 전년보다 56.3% 증가한 7,616명임


   -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제도를 이용한 사람들도 전년보다 34.0%가 증가한 2,761명으로 남녀 사용자 모두 증가함



※ 기타 자세한 사항은 첨부 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출처: 통계청 보도자료 (2017-12-15 사회통계기획과 담당자 김영란)

만족도 평가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얼마나 만족하십니까?

  • 매우만족
  • 만족
  • 보통
  • 불만족
  • 매우불만족
평가

한국사회보장정보원

사이트 전체 메뉴

사이트 전체 메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