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한국사회보장정보원 한국사회보장정보원

home


(2016년) 2016 한국의 사회지표

작성자
박은앙
등록일
2017-03-27
조회수
5713

< 2016 한국의 사회지표 주요결과 >


1. 인구·가구와 가족


  - 2016년 우리나라 총인구는 5,125만명으로 2031년 정점 도달 후 차츰 감소하여 마이너스 성장으로 전환


  - 2016년 우리나라 65세 이상 인구비율은 13.2%이며, 2030년 24.5%, 2040년 32.8%, 2060년 41.0%로 지속적으로 증가할 전망


  - 2015년 1인 가구 비율은 27.2%로 2010년 23.9%보다 3.3%p 증가


  - 2016년 혼인건수는 28만2천건으로 최근 3년간 계속 감소,

    초혼연령도 남자 32.8세, 여자 30.1세로 계속 증가


  - 첫째아를 출산한 모(母) 평균연령은 2010년 30.1세로 30세를 넘긴 이후 계속 높아져 2016년 31.4세임




2. 교육


  - 2016년 교원 1인당 학생 수는 초등학교 14.6명, 중학교 13.3명, 고등학교 12.9명

            학급당 학생 수는 초등학교 22.4명, 중학교 27.4명, 고등학교 29.3명


  - 2016년 고등학교 졸업자의 고등교육기관으로 진학률은 69.8%로 나타남


  - 2016년 초·중·고교 학생 사교육 참여율은 67.8%로 전년보다 1.0%p 감소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는 25만6천원으로 전년보다 1만2천원 증가




3. 노동


  - 2016년 고용률은 60.4%로 전년보다 0.1%p 증가하였으며, 2010년 이후 계속 증가 추세


  - 고용률 남녀 격차는 계속 좁혀지고, 60세 이상 실업률은 중·장년층보다 높음


  - 청년층(15~29세), 50대, 60세 이상 취업자수는 증가하였고, 30~40대 취업자수는 감소함


  - 2016년 임금근로자 중 상용근로자 비중은 66.4%로 전년보다 0.9%p 증가,

    임시 및 일용근로자 비중은 전년보다 각각 0.3%p, 0.6%p 감소함




4. 소득과 소비


  - 2015년 GDP는 1,558.6조원으로 전년보다 4.9% 성장,

    1인당 국민총소득(GNI)은 27,340달러로 전년보다 731달러 감소


  - 2016년 2인 이상 가구의 월평균 소득은 439만9천원으로 전년보다 0.6% 증가,

    소비지출은 255만원으로 전년보다 0.5% 감소




5. 문화·여가와 미디어 활용


  - 공연시설, 공연장 등 문화·여가를 즐길 수 있는 기반은 꾸준히 조성


  - 2016년 만 15세 이상 인구 중 지난 1년 동안 자원봉사활동에 참여한 사람은 10.4%로 지속적으로 감소,

    동호회활동에 참여하는 사람은 13.4%로 증가하고 있음


  - 2016년 주 1회 이상 규칙적으로 생활체육에 참여하는 사람은 59.5%



※ 기타 자세한 사항은 첨부파일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출처: 통계청 보도자료 (2017-03-23 사회통계기획과 담당자 김영란)

만족도 평가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얼마나 만족하십니까?

  • 매우만족
  • 만족
  • 보통
  • 불만족
  • 매우불만족
평가

한국사회보장정보원

사이트 전체 메뉴

사이트 전체 메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