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데이터 이용활성화 및 복지서비스 민간수요자 이용증진>
□ 추진배경
○ 사회복지시설정보시스템 공공데이터를 개방하여 대국민 맞춤형 복지서비스 제공 필요성 대두
□ 추진경과
○ 창원시 “나만의 간편 복지서비스” 구축
- 사회보장정보원과 창원시 업무협약(MOU) 체결(’15.7월)
- 창원시청 종합복지정보포털과 맞춤형 복지서비스 정보연계
○ 경상북도 행복지도시스템 구축
- 사회보장정보원과 경상북도 업무협약(MOU) 체결(’14.12월)
- 경상북도 행복지도시스템에 나만의 간편 복지서비스 찾기 구축
□ 추진성과
○ 사회복지시설정보시스템을 지자체 시스템과 연계하여 대국민 서비스를 제공한 모범적인 사례
- 향후 사회복지시설정보시스템 공공데이터를 적극개방 연계하여 대국민 복지수요에 적극 대응
○ 사회복지시설 정보 공유를 통한 성과 지양
- (경상북도) 도민의 복지 체감도 향상, 나눔 문화 확산 및 부정수급, 인권침해방지
* (경북도민) 지능형 검색시스템을 활용하여 맞춤형 복지서비스 이용
* (경북공무원) 군별, 구별로 검색된 서비스를 통계화 하여 지역별 사각지대 발굴 및 자원연계를 통한 맞춤형 복지 행정 가능
- (창원시) 복지서비스 의뢰체계개선, 맞춤형 정보연계 가능
* 창원시내 복지시설을 중심으로 한 복지서비스 의뢰체계
○ 시스템을 이용한 경북도민 및 창원시민의 반응 호의적
경상북도 |
창원시 |
지자체 공무원 |
* 나만의 간편복지서비스 찾기를 활용하여 주거지에서 가까운 복지서비스 시설 확인하여 복지 혜택을 지원 받음 * 경상북도 사회복지시설의 복지서비스 정보 공개 및 시설 위치를 공유하여 시설의 복지서비스 이용 활성화 |
* 창원시 지역에 가사 관리 등의 필요한 복지서비스 대상 시설 제공 * 서비스 의뢰, 사회복지시설 방문이 어려운 경우 사회복지사 온라인 연결 지원 |
* 사각지대 발굴 및 자원연계 기능을 통한 맞춤형 복지 행정 구현 * 기초생활보호대상자가 아닌 저소득층의 경우라도 다양한 복지서비스 정보 제공 |
□ 성공요인
○ 개인별 맞춤 복지서비스를 제공하여 지자체의 욕구에 적극적인 공공데이터 개방 및 협조체계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