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한국사회보장정보원 한국사회보장정보원

home


빅데이터를 활용한 복지사각지대 발굴

작성자
관리자
등록일
2016-11-24

1. 추진배경


    □ 송파 세 모녀 사건 등 취약계층 사각지대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됨에 따라, 복지 사각지대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고조


    □ 사회보장정보시스템은 복지급여 및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나 신청주의, 정보수집 등의 한계로 사각지대 대상자 발굴은 미흡

 

        ○ 정보시스템을 통한 효율적, 상시적 복지사각지대 발굴체계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확산





2. 추진내용

 

    □ 복지사각지대 발굴시스템 구축 및 시범운영(`15.9월~`16.8월)

 

       ○ 정부부처, 공공기관 등이 보유하고 있는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복지 대상자를 발굴함으로써, 인력을 통한 발굴의 한계를 극복

 

        ○ 13개 기관 23종 정보를 수집·분석하여 고위험 가구를 예측·선별하고, 지자체를 통해 상담·조사 후 복지 급여 및 서비스 지원

 

            - 단전, 단수, 사회보험료 체납, 주거 열악, 고용 위기 등 13개 기관의 23종 정보를 활용하여 고위험 가구를 발굴하고 지원

 

        ○ 발굴 가구에 대한 복지 지원이력을 정보시스템(행복e음)을 통해 지속적으로 관리하여 사각지대를 해소

 

            - 행복e음에 외부정보 수집·분석 -> 예측가구 선별 -> 지원이력 관리기능 구축


 

   □ 복지사각지대 발굴시스템 본 운영(`16.9월~)

 

       ○ '16년 9월부터 본격 운영에 들어가 10월에 약 6만여명의 대상자를 지자체에 제공하여 지원가능여부 확인 중


 



3. 주요성과 및 향후계획


   □ 일부 기관의 정보가 아닌 13개 정부기관 23종의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복지 지원 확률이 높은 대상자를 추출하여 발굴 및 지원 


       ○ '16.1월 ~ 6월 동안 어려운 이웃 16만 2천여명을 먼저 발굴하여 현장조사를 통해 2만 8천여명에게 복지서비스를 지원


   □ '17년에는 사각지대발굴 발굴 통계 분석모형을 더 정교화하여 지원 가능 적중률을 더 향상시킬 수 있도록 시스템 고도화 추진


만족도 평가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얼마나 만족하십니까?

  • 매우만족
  • 만족
  • 보통
  • 불만족
  • 매우불만족
평가

한국사회보장정보원

사이트 전체 메뉴

사이트 전체 메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