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한국사회보장정보원 한국사회보장정보원

home


사회보장정보시스템(행복e음) 소개

작성자
관리자
등록일
2016-07-06

1. 사회보장정보시스템 개요 

                                                             

사회보장정보시스템(행복e음)은 국가와 지방자치단체가 지원하는 다양한 사회복지급여 서비스의 대상자와 지원내역을 통합·관리하는 복지업무 처리 지원 시스템입니다. 


2. 운영현황


약 2만 5천여 명(‘15년 일평균)의 사회복지담당공무원이 복지급여의 상담·신청 및 조사·결정, 급여 지급 및 사후관리 등 복지사업 전반에 대한 업무를 행복e음을 활용하여 수행하고 있으며, 매월 기초생활보장급여, 양육수당, 장애수당 등 2015년 기준 89종 급여(연 9,800만 건, 19조 3천억 원)를 행복e음을 통하여 지급하고 있습니다.


3. 운영성과


 △복지행정 효율화


사회보장정보시스템(행복e음)을 통해 지방자치단체 사회복지 담당 공무원들은 복지대상자의 신청, 자산조사, 지원여부 결정, 급여지급, 사후관리, 사례관리 등 복지업무 과정을 빠르고 정확하게 처리할 수 있습니다.


 △복지체감도 향상


국민의 복지욕구를 종합적으로 파악하여 가능한 모든 서비스를 맞춤형으로 안내받아 한 번에 일괄적으로 신청할 수 있게 되었으며, 복지서비스 신청서와 동의서 등 각종 서식의 통합·간소화(37종→6종) 및 제출 서류의 공적자료 대체로 서비스 신청의 편의성이 제고되었습니다. 또한 소득·재산 조사에 걸리는 시간도 최장 60일에서 10.9일로 지원여부 결정까지의 대기시간이 대폭 단축되었습니다.


 △복지재정 누수방지


복지대상자가 유사·중복 서비스를 받고 있는지 여부, 자격 변동에 따른 대상 자격 유지 여부 등을 공적 자료를 토대로 주기적으로 확인하여 복지서비스가 필요한 대상을 보다 정확하게 산정하여 서비스의 누락을 막고, 복지급여 서비스 지급 현황 통합 관리로 중복이나 부정수급을 차단하여 복지예산이 꼭 필요한 국민들에게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또한, 각 기관별로 관리되는 사망의심자 및 사망 확인 정보를 수집, 통합 관리하는 사망의심자 HUB 시스템을 구축하여 사망신고 지연에 따른 부적정 수급 및 복지 재정 누수를 방지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만족도 평가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얼마나 만족하십니까?

  • 매우만족
  • 만족
  • 보통
  • 불만족
  • 매우불만족
평가

한국사회보장정보원

사이트 전체 메뉴

사이트 전체 메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