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한국사회보장정보원 한국사회보장정보원

연구보고서


가족돌봄청년(Young Carer) 기초 연구

요약

제1장 서론

제2장 선행연구 검토

제3장 비정형데이터 분석결과

제4장 행정데이터 분석결과

제5장 패널데이터 분석결과

제6장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 연구배경 및 목적

- (배경가족돌봄청년은 비교적 최근에서야 지원이 필요한 사회적 취약계층으로 인식하게 되었고따라서 가족돌봄청년에 대한 선행연구나 실태조사 등 현황을 알 수 있는 자료가 부족함.

- (필요성가족돌봄청년 지원정책 마련을 위해서는 국내 가족돌봄청년의 규모와 특성을 파악하여야 함.

- (목적행정데이터와 패널자료를 활용하여 가족돌봄청년의 규모를 추정하고이들의 특성을 파악함으로써 정책 개선방안을 모색하기 위함.


○ 주요내용

가족돌봄위기 청년 규모는 약 0.43~4.75%로 추정되며, 2023년 9월 인구 기준 약 57,265~632,584명으로 예측할 수 있음.

가족돌봄위기 청년이 가진 위기요인은 고용위기주거위기경제적 위기 순으로 나타났고이들의 정신건강은 일반 청년에 비해 취약한 상황임.

행정데이터를 활용하여 돌봄이 필요한 대상자를 파악하고그들의 가구원 정보를 통해 가족돌봄청년 발굴 가능성을 확인하였음.

만족도 평가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얼마나 만족하십니까?

  • 매우만족
  • 만족
  • 보통
  • 불만족
  • 매우불만족
평가

한국사회보장정보원

사이트 전체 메뉴

사이트 전체 메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