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한국사회보장정보원 한국사회보장정보원

연구보고서


복지 사각지대 대상자 유형별 위기 진단과 사례 연구

요약

제1장 서론

제2장 이론적 논의

제3장 복지사각지대 발굴관리시스템 대상자 위기 진단

제4장 복지패널을 활용한 제도 밖 물질적 박탈경험자 위기 진단

제5장 복지 사각지대 사망사건 언론보도 사례 분석

제6장 결론 및 정책대응 제안

참고문헌

○ 연구배경 및 목적

- (배경복지 사각지대 사망사고가 다양한 사유로 계속되는 현실에서 재발 방지를 위한 방안 마련이 중요한 과제임개인이나 가구의 어려움이 지속되는 상황에서 위기 집단의 사회적 위험신호를 놓치는 일이 없도록 재점검되어야 함

- (필요성복지사각지대 시스템 안과 밖에서 확인할 수 있는 위기 집단의 시간 흐름에 따른 특성을 파악하여 정책개선 모색이 필요함

- (목적본 연구는 복지사각지대 발굴관리시스템 대상자 분석전국민 표본으로 수행된 복지패널의 위험 집단 분석복지사각지대 사망사건 언론보도 사례 분석 등을 통해 개선방향을 제안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음


○ 주요내용

복지사각지대 발굴관리시스템 대상자 시계열 분석을 통해 발굴 현황과 지원선정에 유의미한 위기정보 특성 등을 분석하고복지패널의 시계열 분석을 통해 물질적 박탈 경험자의 특성과 정신건강에의 영향 등을 확인함

복지 사각지대 언론보도 사망사건(35)의 사례를 분석하여 현황과 유형화 등을 시도함

본 분석을 통해 복지 사각지대 재발 방지를 위해 1) 잠재적인 위기 대상, 2) 모형 정교화3) 지역통합돌봄, 4) 발굴정보 개선, 5) 지자체 활용 등의 차원에서 개선 방향을 제시함

만족도 평가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얼마나 만족하십니까?

  • 매우만족
  • 만족
  • 보통
  • 불만족
  • 매우불만족
평가

한국사회보장정보원

사이트 전체 메뉴

사이트 전체 메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