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한국사회보장정보원 한국사회보장정보원

연구보고서


사회보장급여 소득인정액의 근로소득 산정방식 현황 및 개선방안

요약

제1장 서론

제2장 근로소득 산정방식 및 선행연구 검토

제3장 생계급여 확인조사 대상자 분석

제4장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 연구배경 및 목적

(배경사회보장정보시스템을 통해 공적자료를 연계하여 소득조사가 가능해짐에 따라 소득조사의 정확성이 높아지고 복지공무원의 업무부담이 경감될 것으로 기대

- (필요성소득 발생시점과 공적자료의 연계시점의 차이로 인해 민원 발생 및 복지공무원 업무부담이 감소하지 않고 있음

- (목적사회보장정보시스템을 통해 산츨되는 근로소득과 공무원 확인조사를 통해 보정되는 근로소득의 차이 현황을 분석하고근로소득 산정방식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함.


○ 주요내용

근로소득 산정방식 관련 법령 및 업무매뉴얼 검토

국내외 선행연구 및 미국과 영국의 사회보장급여 자격판정을 위한 소득산정 방식 검토

사회보장정보시스템을 통해 연계된 공적자료 기반으로 산출된 근로소득과 공무원의 확인조사를 통해 보정된 근로소득 간의 차이 분석

해외 사례검토 등을 바탕으로 사회보장급여 자격판정을 위한 근로소득 산정방식 개선방안 제안

만족도 평가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얼마나 만족하십니까?

  • 매우만족
  • 만족
  • 보통
  • 불만족
  • 매우불만족
평가

한국사회보장정보원

사이트 전체 메뉴

사이트 전체 메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