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한국사회보장정보원 한국사회보장정보원

연구소 미디어


사회보장분야 데이터 기반 행정 활성화를 위한 기초연구
포털운영부 412 2024-12-12
사회보장분야 데이터 기반 행정 활성화를 위한 기초연구, 본 연구에서는 복지 분야 4,234만 명의 17,574건의 데이터를 보유한 한국사회보장정보원의 데이터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직원 데이터 활용 역량 수준 평가를 수행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교육 및 데이터 활용 방향성을 제시하였습니다.
사회보장분야 데이터 활용 조직 역량 수준 종합평가(5점척도), 데이터 비전/리더십 3.60 데이터 거버넌스 3.35 데이터 활용 성과관리 3.24, 데이터 활용에 대한 구성원의 인식은 높으나 데이터 활용 절차 수립, 체계적 관리, 분석결과가 업무 성과로 도출되는 관리는 미흡한 것으로 나타남
조직 역량 수준 하위 영역 데이터 활용 성과관리, 교육/인적관리 3.40 절차관리 3.09 성과관리 3.29 과제기획관리 3.26, 데이터 활용역량 강화 교육은 잘 이루어지나 도출한 분석과제를 제대로 추척, 관리하고 있지 못하다고 인식
조직역량 수준 하위 영역 데이터 비전/리더십 분석, 전략/리더십 3.78 문화관리 3.38, 데이터 기반 행정을 위한 리더십 기반이 마련되어 추진되고 있으나 데이터 활용을 위한 협업 지원체계가 미흡하다고 보임
데이터 활용 성과관리, 교육 인적관리 3.40 성과관리 3.29 과제기획관리 3.26 절차관리 3.09, 데이터 활동역량 강화 교육은 잘 이루어지나 구성원이 도출한 분석 과제를 추적, 관리하고 있지 못하다고 인식
조직역량수준 하위 영역 데이터 거버넌스 전문조직 인력 3.49 플랫폼 분석도구 3.21 효율적인 협업 지원체계 적립은 안되어 있으나 전문조직과 인력은 보유하고 있다고 인식, 한국사회보장정보원
사회보장분야 데이터 활용 개인 수준 종합평가, 분석결과 활용 3.19 데이터 분석 2.72 정책/분석 기획 3.14 데이터 수집 3.09, 분석 결과 해석 및 업무 활용 역량은 높으나 데이터 분석 및 시각화 역량은 상대적으로 낮다고 보임
최종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한국사회보장정보원 대상 역량진단 평가를 수행하였으며, 결과를 기반으로 교육방안을 제시하였습니다. 또한 데이터 활용 강화를 위한 방향성을 제시하였습니다. 역량 진단평가+교육 방안제시+데이터활용 방향성 제시
사회보장 분야 데이터 기반 행정활성화를 위한 기초연구, 이우식 김인수 박규범 이원석 최솔지, 보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연구보고서를 참고해주세요.
사회보장분야 데이터 기반 행정 활성화를 위한 기초연구, 본 연구에서는 복지 분야 4,234만 명의 17,574건의 데이터를 보유한 한국사회보장정보원의 데이터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직원 데이터 활용 역량 수준 평가를 수행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교육 및 데이터 활용 방향성을 제시하였습니다.
사회보장분야 데이터 활용 조직 역량 수준 종합평가(5점척도), 데이터 비전/리더십 3.60 데이터 거버넌스 3.35 데이터 활용 성과관리 3.24, 데이터 활용에 대한 구성원의 인식은 높으나 데이터 활용 절차 수립, 체계적 관리, 분석결과가 업무 성과로 도출되는 관리는 미흡한 것으로 나타남
조직 역량 수준 하위 영역 데이터 활용 성과관리, 교육/인적관리 3.40 절차관리 3.09 성과관리 3.29 과제기획관리 3.26, 데이터 활용역량 강화 교육은 잘 이루어지나 도출한 분석과제를 제대로 추척, 관리하고 있지 못하다고 인식
조직역량 수준 하위 영역 데이터 비전/리더십 분석, 전략/리더십 3.78 문화관리 3.38, 데이터 기반 행정을 위한 리더십 기반이 마련되어 추진되고 있으나 데이터 활용을 위한 협업 지원체계가 미흡하다고 보임
데이터 활용 성과관리, 교육 인적관리 3.40 성과관리 3.29 과제기획관리 3.26 절차관리 3.09, 데이터 활동역량 강화 교육은 잘 이루어지나 구성원이 도출한 분석 과제를 추적, 관리하고 있지 못하다고 인식
조직역량수준 하위 영역 데이터 거버넌스 전문조직 인력 3.49 플랫폼 분석도구 3.21 효율적인 협업 지원체계 적립은 안되어 있으나 전문조직과 인력은 보유하고 있다고 인식, 한국사회보장정보원
사회보장분야 데이터 활용 개인 수준 종합평가, 분석결과 활용 3.19 데이터 분석 2.72 정책/분석 기획 3.14 데이터 수집 3.09, 분석 결과 해석 및 업무 활용 역량은 높으나 데이터 분석 및 시각화 역량은 상대적으로 낮다고 보임
최종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한국사회보장정보원 대상 역량진단 평가를 수행하였으며, 결과를 기반으로 교육방안을 제시하였습니다. 또한 데이터 활용 강화를 위한 방향성을 제시하였습니다. 역량 진단평가+교육 방안제시+데이터활용 방향성 제시
사회보장 분야 데이터 기반 행정활성화를 위한 기초연구, 이우식 김인수 박규범 이원석 최솔지, 보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연구보고서를 참고해주세요.

○ 연구배경 및 목적

- (배경사회보장 분야에 많은 행정 데이터가 누적되고 활용가치 높은 데이터가 있지만 신기술 및 인공지능의 적용과 활용은 미흡한 상황

- (필요성공공기관 인공지능 적용 확산은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는 상황에서 사회보장 분야 신기술 및 인공지능 적용 확산을 위한 연구 데이터베이스와 직원역량 강화가 필요한 상황

- (목적사회보장 분야의 데이터 활용 확산 및 신기술·인공지능 적용을 위해 연구용 데이터베이스 및 직원역량 강화방안 마련


○ 주요내용

사보원 전직원 대상 역량평가를 기반으로 조짂개인의 데이터 활용 역량 측정 및 데이터 활용 역량 강화 방안 제시

데이터베이스 설계 5단계에 맞춰 사회보장 데이터 활용 확산을 위한 데이터베이스 프로토타입 구축과 활용방안 제시

사회보장정보공동이용플랫폼(SISP)기반의 데이터 활용 및 공유를 제안


자세한 사항은 [연구자료 바로가기]를 확인해주세요.

만족도 평가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얼마나 만족하십니까?

  • 매우만족
  • 만족
  • 보통
  • 불만족
  • 매우불만족
평가

한국사회보장정보원

사이트 전체 메뉴

사이트 전체 메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