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한국사회보장정보원 한국사회보장정보원

연구소 미디어


개인맞춤형 사회보장제공을 위한 프로파일링 구축 및 추천 모델 연구
포털운영부 390 2024-12-05
한국사회보장정보원, 개인맞춤형 사회보장제공을 위한 프로파일링 구축 및 추천 모델 연구
통합사례관리업무는 대상자의 욕구를 파악하고 자원을 적절하게 연계하시는 것이 핵심입니다. 본 연구에서는 개인이나 가구특성을 활용하여 욕구및 위기도에 따라 적절한 자원이 연계될 수 있는 복지자원 추천을 위해 거대언어모델(LLM) 기반의 추천 모델 개발을 연구하였습니다.
언어모델 기반 복지서비스 추천모델 개발 과정, 개발과정 첫번째, LLM파인튜닝을 통해 복지자원 추천이 가능한 대화형 추천모델 생성, 즉 욕구 및 위기도에 맞는 맞춤형 자원이 추천되도록 수집된 정보를 언어 모델로 학습, 인정사항 욕구 및 위기도 → 경제(현금성)의료비 지원 신체적 질환 치료비 지원
사례관리과정에서 수집된 정보를 LLM학습을 위한 언어로 자동 변환처리, 사례관리 대상자 수집 정보(사례관리 시작월 : 10월, 거주지 : 충청남도 ○○군 ○○읍, 연령 : 80대 이상, 성별 : 여자, 변환 지시(instruction) question 사례관리 시작은 10월이고 충첨남도 ○○군 ○○읍에 사는 80대 이상 여자로 욕구는.....이다. 욕구에 맞게 적절한 자원을 추천해주세요, Answer 신체적건강- 비타민 지원 주거-저소득층 주택개량
개발과정 두번째, 언어모델과 검색기술을 결합한 RAG방법을 적용한 추천모델 생성, 개발과정 세번째, 유사도 높은 적은 양의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학습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few shot learning과 KOPAS LLM모델을 이용하는 추천모델 생성
본 연구를 시작으로 향후 사회보장과 관련된 다양한 데이터들이 AI기술과 함께 사람의 작업을 더 가치있게 만드는 다양한 모델들의 개발이 계속 되기를 기대합니다
개인 맞춤형 사회보장 제공을 위한 프로프일링 구축 및 추천모델 연구-거대언어모델(LLM) 기반 복지자원 추천을 중심으로, 김선월 김민우 이경록 마민정 황건하, 더 자세한 추천 모델 연구 내용은 연구자료를 참고 부탁드립니다.
한국사회보장정보원, 개인맞춤형 사회보장제공을 위한 프로파일링 구축 및 추천 모델 연구
통합사례관리업무는 대상자의 욕구를 파악하고 자원을 적절하게 연계하시는 것이 핵심입니다. 본 연구에서는 개인이나 가구특성을 활용하여 욕구및 위기도에 따라 적절한 자원이 연계될 수 있는 복지자원 추천을 위해 거대언어모델(LLM) 기반의 추천 모델 개발을 연구하였습니다.
언어모델 기반 복지서비스 추천모델 개발 과정, 개발과정 첫번째, LLM파인튜닝을 통해 복지자원 추천이 가능한 대화형 추천모델 생성, 즉 욕구 및 위기도에 맞는 맞춤형 자원이 추천되도록 수집된 정보를 언어 모델로 학습, 인정사항 욕구 및 위기도 → 경제(현금성)의료비 지원 신체적 질환 치료비 지원
사례관리과정에서 수집된 정보를 LLM학습을 위한 언어로 자동 변환처리, 사례관리 대상자 수집 정보(사례관리 시작월 : 10월, 거주지 : 충청남도 ○○군 ○○읍, 연령 : 80대 이상, 성별 : 여자, 변환 지시(instruction) question 사례관리 시작은 10월이고 충첨남도 ○○군 ○○읍에 사는 80대 이상 여자로 욕구는.....이다. 욕구에 맞게 적절한 자원을 추천해주세요, Answer 신체적건강- 비타민 지원 주거-저소득층 주택개량
개발과정 두번째, 언어모델과 검색기술을 결합한 RAG방법을 적용한 추천모델 생성, 개발과정 세번째, 유사도 높은 적은 양의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학습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few shot learning과 KOPAS LLM모델을 이용하는 추천모델 생성
본 연구를 시작으로 향후 사회보장과 관련된 다양한 데이터들이 AI기술과 함께 사람의 작업을 더 가치있게 만드는 다양한 모델들의 개발이 계속 되기를 기대합니다
개인 맞춤형 사회보장 제공을 위한 프로프일링 구축 및 추천모델 연구-거대언어모델(LLM) 기반 복지자원 추천을 중심으로, 김선월 김민우 이경록 마민정 황건하, 더 자세한 추천 모델 연구 내용은 연구자료를 참고 부탁드립니다.

○ 연구배경 및 목적

- (배경디지털 기술을 바탕으로 수집된 데이터와 AI가 결합한 지능정보 기술은 미래사회 변화와 문제해결의 핵심적 대안으로 평가되고 있음특히의료복지 등 서비스 비용 증가 등의 사회 현안 해소를 위한 대안으로 개인 맞춤형 서비스가 제시

- (필요성통합사례관리는 대상자의 욕구에 따라 적절한 자원을 연계하는 것이 핵심이지만욕구에 따른 서비스 연계는 담당자의 역량에 따라 결정되며 담당자 간 변동이 큰 문제를 안고 있음

- (목적복지 욕구에 맞는 서비스 자원이 적절하게 제공될 수 있도록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복지자원 추천모델 개발


○ 주요내용

통합사례관리 업무에서 수집된 복지 욕구와 자원 연계 데이터로 재학습하여복지 욕구의 문맥을 이해하고 적절한 복지 자원 추천을 수행하도록 파인튜닝 된 언어 모델 개발

초기상담을 통해 조사된 복지 욕구 데이터가 입력되면해당 데이터를 텍스트 프로필로 변환하고 욕구에 맞는 복지자원이 추천되는 모듈 개발


자세한 사항은 [연구자료 바로가기]를 확인해주세요.

만족도 평가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얼마나 만족하십니까?

  • 매우만족
  • 만족
  • 보통
  • 불만족
  • 매우불만족
평가

한국사회보장정보원

사이트 전체 메뉴

사이트 전체 메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