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한국사회보장정보원 한국사회보장정보원

연구소 미디어


AI.IoT기반 어르신 건강관리사업 운영 실태분석을 통한 개선안 마련 연구
포털운영부 489 2024-11-21
한국사회보장정보원, AI.IoT기반 어르신 건강관리사업 운영 실태분석을 통한 개선안 마련 연구
AI.IoT기반 어르신 건강관리서비스란? 65세 이상 어르신을 대상으로 디지털 기기를 활용해 건강습관을 길러주고 허약관리를 목적으로 하는 서비스입니다.
사업참여 보건기관 및 참여 노인 현황, 1~2차 참여기관 54개소, 4차 참여기관 140여개소 약 2.6배 증가, 참여노인 2021년 23,574명  2023년 52,004명 약 2.3배 증가 * 2023 4월 기준 PHIS시스템 누적 데이터 활용
사업 참여 노인의 건강특성. 비만율 48.6%, 고혈압 59.3% 당뇨 29.4% 뇌졸증 3.9% 관절염 26.7%, 전 허약군 63.7%
사업 참여 전-후 군분류에 따른 건강지표 개선 정도 BMI, 악력, 평형성, 혈압 혈당, 활동정도, 근력 등. 건강군 전반적인 영역에서 건강지표가 개선됨. 전허약군 전반적인 영역에서 건강지표가 개선됨. 허약군 BMI,악력,혈당을 제외한 건강지표가 개선됨. 허약군 집중관리를 위한 중재가 필요
사업기간에 따른 건강지표 개선정도 BMI 사업참여기간이 늘어날수록 감소(개선) 하다가 18개월 이후 다시 증가, 악력값 사업참여 기간이 늘어날수록 증가(개선)하다가 24개월 이후 감소, 근력운동정도 사업 참여기간이 늘어날수록 증가(개선)하다가 24개월이후 감소, 사회허약 사업참여기간이 늘어날수록 감소(개선)함, 장기적이고 지속적인 개입을 통한 건강관리의 필요, 한국사회보장정보원
지역 보건기관 담당자 224명 대상 사업운영 실태분석. 사업 장기추진 시 예상 문제. 1 담당하는 분야 외 업무과다 30.4% 2 대상자 확대로 모니터링 및 관리 문제 27.3% 3 참여자의 디지털 활용 역량 차이 24.9% 4 고가의 디바이스 예산 확보 10.8% 5 담당자의 전공 무관한 업무분배 6.6%
본 연구에서는 어르신 대상으로 수행중인 AI.IoT기반 건강관리사업의 효과와 운영 실태를 제시하였습니다. 향후 사업확대를 위한 개선방안을 마련하는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합니다
AI.IoT기반 어르신 건강관리사업 운영 실태분석을 통한 개선안 마련 연구, 연구책임 우예신 부연구위원. 더 자세한 정보는 연구 보고서를 참고 바랍니다.
한국사회보장정보원, AI.IoT기반 어르신 건강관리사업 운영 실태분석을 통한 개선안 마련 연구
AI.IoT기반 어르신 건강관리서비스란? 65세 이상 어르신을 대상으로 디지털 기기를 활용해 건강습관을 길러주고 허약관리를 목적으로 하는 서비스입니다.
사업참여 보건기관 및 참여 노인 현황, 1~2차 참여기관 54개소, 4차 참여기관 140여개소 약 2.6배 증가, 참여노인 2021년 23,574명  2023년 52,004명 약 2.3배 증가 * 2023 4월 기준 PHIS시스템 누적 데이터 활용
사업 참여 노인의 건강특성. 비만율 48.6%, 고혈압 59.3% 당뇨 29.4% 뇌졸증 3.9% 관절염 26.7%, 전 허약군 63.7%
사업 참여 전-후 군분류에 따른 건강지표 개선 정도 BMI, 악력, 평형성, 혈압 혈당, 활동정도, 근력 등. 건강군 전반적인 영역에서 건강지표가 개선됨. 전허약군 전반적인 영역에서 건강지표가 개선됨. 허약군 BMI,악력,혈당을 제외한 건강지표가 개선됨. 허약군 집중관리를 위한 중재가 필요
사업기간에 따른 건강지표 개선정도 BMI 사업참여기간이 늘어날수록 감소(개선) 하다가 18개월 이후 다시 증가, 악력값 사업참여 기간이 늘어날수록 증가(개선)하다가 24개월 이후 감소, 근력운동정도 사업 참여기간이 늘어날수록 증가(개선)하다가 24개월이후 감소, 사회허약 사업참여기간이 늘어날수록 감소(개선)함, 장기적이고 지속적인 개입을 통한 건강관리의 필요, 한국사회보장정보원
지역 보건기관 담당자 224명 대상 사업운영 실태분석. 사업 장기추진 시 예상 문제. 1 담당하는 분야 외 업무과다 30.4% 2 대상자 확대로 모니터링 및 관리 문제 27.3% 3 참여자의 디지털 활용 역량 차이 24.9% 4 고가의 디바이스 예산 확보 10.8% 5 담당자의 전공 무관한 업무분배 6.6%
본 연구에서는 어르신 대상으로 수행중인 AI.IoT기반 건강관리사업의 효과와 운영 실태를 제시하였습니다. 향후 사업확대를 위한 개선방안을 마련하는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합니다
AI.IoT기반 어르신 건강관리사업 운영 실태분석을 통한 개선안 마련 연구, 연구책임 우예신 부연구위원. 더 자세한 정보는 연구 보고서를 참고 바랍니다.

○ 연구배경 및 목적

- (배경) AI-IoT 기반 어르신 건강관리사업이 2020년 24개소에서 2025년 전국 보건소로 확대 계획에 따른 업무부담 증가가 예상되는 상황임

- (필요성본 사업의 효과와 확대 논의뿐 아니라 사업제공인력의 업무 효율화를 위한 실질적인 개선방안 모색이 필요함

- (목적본 연구는 사업 이용 대상자의 데이터 분석과 지역 보건소별 설문조사 및 인터뷰를 연계해 살펴본 후 사업에 대한 문제를 파악하고실질적인 대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음


○ 주요내용

AI-IoT 기반 어르신 건강관리사업 데이터 분석을 통해 이용자의 실태분석과 사업 참여를 통한 건강 개선율 효과 등을 분석함

지자체 사업담당자 설문조사와 인터뷰를 통해 보건기관별 사업 운영방식과 특성을 파악하고사업 운영 과정에서 어려움과 개선 방향에 대한 의견을 수렴함

본 분석을 토대로 AI-IoT 기반 어르신 건강관리사업의 확장과 발전적 운영을 위해 1)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증진 교육, 2) 맞춤형 교육 활성화 방안, 3) 운영인력의 조직 및 고용 안정화 등의 차원에서 발전방향을 제시함


만족도 평가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얼마나 만족하십니까?

  • 매우만족
  • 만족
  • 보통
  • 불만족
  • 매우불만족
평가

한국사회보장정보원

사이트 전체 메뉴

사이트 전체 메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