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한국사회보장정보원 한국사회보장정보원

연구소 미디어


사회보장 행정데이터를 활용한 자립준비 청년 현황분석과 방안
포털운영부 498 2024-11-07
사회보장 행정데이터를 활용한 자립준비 청년 현황분석과 방안, 한국사회보장정보원
자립준비청년이란? 부모로부터 분리되어 가정위탁, 아동양육시설, 아동공동생활가정(그룹홈)에서 생활하다가 성인이 되어 보호조치가 종료된 사람. 매년 약 2천명이 보호 종료. 부모 가족의 도움없이 자립하는 것은 쉽지 않습니다 , 한국사회보장정보원
18세 이후 자립 준비 청년의 자립지원, 18세 이후 보호종료된 청년에게 신청자격이 주워짐(2023년 아동복지법 개정으로 조기 종료 아동도 자립지원대상에 포함) 보호종료후 5년의 기간이 지나면 사후관리, 경제적 지원 등의 자립지원이 종료됩니다, 한국사회보장정보원
최근 10년(2012~2022년)간 위탁가정, 아동복지시설 보호종료자 행정데이터 분석. 남성 52.70%(26,316명) 여성 47.30%(23617명) 평균연령 22.12세(2023년 현재) 보호유형 가정위탁 42.40%, 아동양육시설 39.52%, 아동공동생활가정 18.08%, 한국사회보장정보원
연구대상자의 가정외 보호경험. 가정외 보호 시작연령 평균 9.16세 가정외 보호기간 평균 6.69년 보호종료 연령 평균 15.94세 보호종료사유 1위 18세 이상 연령도래 38.36%. 2위 연장보호종료 11.84% 3위 원가정복귀, 보호체계 변경 26.98%, 한국사회보장정보원
자립지원대상 여부에 따른 연구대상자 유형 구분. 자립지원미대상 20,447명 41%. 보호종료 시 연령이 17세 이하인 자. 자립지원대상 12,514명 25%. 18세 이후 보호종료되어 5년의 기간이 경과하지 아니한 자. 자립지원기간종료 16,933명 34%. 18세 이후 보호종료되었으나, 자립 기간이 5년을 초과한 자. 한국사회보장정보원.
연구대상자의 자립지원제도 이용 현황. 자립수당 11,466명 22.96% 평균 지급액 8,146천원. 자립정착금 5,727명 11.4% 평균 지급액 5,785천원. 청년마음건강사업 74명 0.15% 평균 이용기간 4.13개월. 한국사회보장정보원
연구대상자의 기초생활보장제도 이용 현황. 기초생활보장제도 수급자 15,982명 32%. 생계급여 13,256명 의료급여 13,899명 주거급여 13,565명. 3건 모두 수급 67.16% 2건 수급 20.46% 1건만 수급 12.38%. * 생계, 의료, 주거급여. 자립지원기간이 종료되어도 10명중 1명은 생계급여 수급, 한국사회보장정보원
정부는 자립준비 청년의 지원을 강화하기 위해 대책을 발표하고 지원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행정데이터를 활용하여 자립지원이 필요한 이들을 발굴 및 지원하기 위한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합니다. 한국사회보장정보원
사회보장 행정데이터를 활용한 자립준비청년 현황분석과 지원방안, 김지선 최기정 양영미 , 보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연구보고서를 참고해주세요.
사회보장 행정데이터를 활용한 자립준비 청년 현황분석과 방안, 한국사회보장정보원
자립준비청년이란? 부모로부터 분리되어 가정위탁, 아동양육시설, 아동공동생활가정(그룹홈)에서 생활하다가 성인이 되어 보호조치가 종료된 사람. 매년 약 2천명이 보호 종료. 부모 가족의 도움없이 자립하는 것은 쉽지 않습니다 , 한국사회보장정보원
18세 이후 자립 준비 청년의 자립지원, 18세 이후 보호종료된 청년에게 신청자격이 주워짐(2023년 아동복지법 개정으로 조기 종료 아동도 자립지원대상에 포함) 보호종료후 5년의 기간이 지나면 사후관리, 경제적 지원 등의 자립지원이 종료됩니다, 한국사회보장정보원
최근 10년(2012~2022년)간 위탁가정, 아동복지시설 보호종료자 행정데이터 분석. 남성 52.70%(26,316명) 여성 47.30%(23617명) 평균연령 22.12세(2023년 현재) 보호유형 가정위탁 42.40%, 아동양육시설 39.52%, 아동공동생활가정 18.08%, 한국사회보장정보원
연구대상자의 가정외 보호경험. 가정외 보호 시작연령 평균 9.16세 가정외 보호기간 평균 6.69년 보호종료 연령 평균 15.94세 보호종료사유 1위 18세 이상 연령도래 38.36%. 2위 연장보호종료 11.84% 3위 원가정복귀, 보호체계 변경 26.98%, 한국사회보장정보원
자립지원대상 여부에 따른 연구대상자 유형 구분. 자립지원미대상 20,447명 41%. 보호종료 시 연령이 17세 이하인 자. 자립지원대상 12,514명 25%. 18세 이후 보호종료되어 5년의 기간이 경과하지 아니한 자. 자립지원기간종료 16,933명 34%. 18세 이후 보호종료되었으나, 자립 기간이 5년을 초과한 자. 한국사회보장정보원.
연구대상자의 자립지원제도 이용 현황. 자립수당 11,466명 22.96% 평균 지급액 8,146천원. 자립정착금 5,727명 11.4% 평균 지급액 5,785천원. 청년마음건강사업 74명 0.15% 평균 이용기간 4.13개월. 한국사회보장정보원
연구대상자의 기초생활보장제도 이용 현황. 기초생활보장제도 수급자 15,982명 32%. 생계급여 13,256명 의료급여 13,899명 주거급여 13,565명. 3건 모두 수급 67.16% 2건 수급 20.46% 1건만 수급 12.38%. * 생계, 의료, 주거급여. 자립지원기간이 종료되어도 10명중 1명은 생계급여 수급, 한국사회보장정보원
정부는 자립준비 청년의 지원을 강화하기 위해 대책을 발표하고 지원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행정데이터를 활용하여 자립지원이 필요한 이들을 발굴 및 지원하기 위한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합니다. 한국사회보장정보원
사회보장 행정데이터를 활용한 자립준비청년 현황분석과 지원방안, 김지선 최기정 양영미 , 보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연구보고서를 참고해주세요.

○ 연구배경 및 목적

- (배경자립준비청년에 대한 사회적 관심 증가와 자립지원 확대 추세이며효과적인 자립지원을 위해서는 대상자의 현황과 욕구 파악이 선행되어야 함.

- (필요성정부의 자립지원을 받기 위해서는 보호종료 당시 연령이 18세 이상이면서 보호종료 후 5년 이내라는 조건을 갖추어야 하므로 자격기준의 적절성 검토 필요

- (목적사회보장 행정데이터를 활용하여 보호종료 당시 연령과 자립 기간에 따라 집단을 구분하고이들의 현황과 생활실태를 파악함으로써 자립지원 강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함.


○ 주요내용

- 2012~2022년 보호종료자의 사회복지시설정보시스템과 사회보장정보시스템 데이터를 가명결합하였고보호종료 사유가 사망인 39명을 제외한 49,894명을 18세 미만 보호종료(자립지원미대상) 20,447(40.98%), 자립지원대상 12,514(25.08%), 자립지원기간종료 16,933(33.94%)으로 구분함.

행정데이터로 확인된 자립정착금 대상자 5,727명 중 96.91%, 자립수당 대상자 11,466 중 94.73%가 자립지원대상(자립준비청년)에 해당하는 등 대부분의 자립지원이 18세 이상 보호종료 후 5년이 지나지 않은 자립준비청년에 집중되어 있음.

자립지원기간종료 집단의 약 10%는 기초생활수급 대상자로, 5년의 사후관리 기간 이후에도 10명 중 1명은 경제적 어려움을 겪는다는 것을 확인함.


더욱 자세한 사항은 아래 [연구자료 바로가기]를 통해 확인해주세요.

만족도 평가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얼마나 만족하십니까?

  • 매우만족
  • 만족
  • 보통
  • 불만족
  • 매우불만족
평가

한국사회보장정보원

사이트 전체 메뉴

사이트 전체 메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