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한국사회보장정보원 한국사회보장정보원

보도자료


공공보건포털 ‘e보건소' 임신·출산 관련 보건서비스 정보 12개 언어 번역 서비스 제공

작성자
관리자
등록일
2025-02-24

공공보건포털 ‘e보건소' 임신·출산 관련 보건서비스 정보 12개 언어 번역 서비스 제공




  한국사회보장정보원(원장 김현준)은 다문화가족 등 한국 거주 외국인의 보건서비스 정보 접근성 향상을 위해 21일부터 공공보건포털 ‘e보건소’에  다국어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밝혔다.


  공공보건포털 ‘e보건소’는 보건소에서 운영하는 다양한 사업정보를 제공하고, 보건소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온라인을 통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포털사이트이다.


  ‘e보건소’에서는 보건서비스 특성별로 건강증진, 질병관리, 암관리, 구강보건, 정신보건, 가족건강, 한의약, 방문건강관리 등 8개 항목으로 분류하여 총 46종 보건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임신·출산 관련 보건서비스 9종의 내용을 영어, 중국어, 베트남어 등 12개 언어로 제공



  이번 다국어 서비스는 공공보건포털 ‘e보건소’에서 제공하는 임신·출산 관련 보건서비스 9종에 대해 대상자, 서비스 내용, 신청 방법 등 정보를 영어, 중국어, 베트남어 등 12개 언어(영어, 중국어, 베트남어, 일본어, 타칼로그어, 크메르어, 우즈베크어, 라오어, 러시아어, 태국어, 몽골어, 네팔어)로 번역하여 제공하는 것이다.



<다국어 서비스 제공 보건서비스 9>

 

서비스명

 

서비스명

1

고위험 임산부 의료비 지원사업

6

영양플러스사업

2

난임부부 시술비 지원사업

7

임산부 신고

3

냉동난자 사용 보조생식술 지원 사업

8

임신 사전건강관리 지원사업

4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지원사업

9

표준모자보건수첩 제공

5

산모 건강관리(임산부 건강관리)

 

 





  통계청의 「2023년 인구주택총조사」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 다문화 가구는 41만 5천 가구로, 이 중 번역 대상 12개 언어를 사용하는 다문화가구 대상자는 94.9%에 해당한다. 



 ‘e보건소’ 다국어 페이지에 다문화가족지원포털 ‘다누리포털’ 로 이동할 수 있는 배너 설치 



  다국어 번역은 여성가족부 산하 공공기관 한국건강가정진흥원(이사장 박구연)의 번역 지원을 통해 추진되었으며, 이번 서비스 오픈을 계기로 공공보건포털 ‘e보건소’ 다국어 페이지에서 한국건강가정진흥원의 다문화가족지원포털 ‘다누리포털’로 이동할 수 있는 배너를 적용해 다문화가족이 더욱 손쉽게 다양한 정보를 습득할 수 있도록 하였다. 


향후 다문화가족지원포털 ‘다누리포털’에서도 공공보건포털 ‘e보건소’로 이동할 수 있도록 배너가 적용될 예정이다.


  신규 오픈한 보건서비스 다국어 번역 서비스는 공공보건포털 e보건소(https://www.e-health.go.kr)에 접속하여 메인화면 하단의 각 국가 아이콘을 선택하면 해당 언어에 대한 다국어 번역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external_image

[공공보건포털 ‘e보건소’ 보건서비스 다국어 접근 경로/한국사회보장정보원]




  박구연 한국건강가정진흥원 이사장은 “양 기관의 협력으로 다문화가족이 보건서비스 정보를 12개의 언어로 제공받을 수 있게 되었다”며 “앞으로 정보 사각지대를 해소하여, 국민이 공공서비스를 더욱 가까이 접할 수 있도록 다국어서비스 확장에 기여하겠다”고 하였다.


  김현준 한국사회보장정보원 원장은 “한국건강가정진흥원의 다국어 번역 협조에 감사하다”라며 “앞으로 다국어 제공 대상 서비스를 지속해서 확대하여 다문화가정이 언어에 대한 장벽을 넘어 보건서비스 체감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하겠다"라고 밝혔다.



external_image

[공공보건포털 ‘e보건소’ 보건서비스 다국어 안내 화면/한국사회보장정보원]



한국사회보장정보원이 창작한 "공공보건포털 ‘e보건소' 임신·출산 관련 보건서비스 정보 12개 언어 번역 서비스 제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만족도 평가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얼마나 만족하십니까?

  • 매우만족
  • 만족
  • 보통
  • 불만족
  • 매우불만족
평가

한국사회보장정보원

사이트 전체 메뉴

사이트 전체 메뉴 닫기